본문 바로가기
코딩 테스트/백준

2493 탑

by 위그든씨 2025. 4. 21.

KOI 통신연구소는 레이저를 이용한 새로운 비밀 통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실험을 하고 있다. 실험을 위하여 일직선 위에 N개의 높이가 서로 다른 탑을 수평 직선의 왼쪽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세우고, 각 탑의 꼭대기에 레이저 송신기를 설치하였다. 모든 탑의 레이저 송신기는 레이저 신호를 지표면과 평행하게 수평 직선의 왼쪽 방향으로 발사하고, 탑의 기둥 모두에는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탑에서 발사된 레이저 신호는 가장 먼저 만나는 단 하나의 탑에서만 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개의 탑이 수평 직선에 일렬로 서 있고, 모든 탑에서는 주어진 탑 순서의 반대 방향(왼쪽 방향)으로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발사한다고 하자. 그러면, 높이가 4인 다섯 번째 탑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는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이 수신을 하고,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의 신호는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높이가 5인 세 번째 탑의 신호도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이 수신을 한다. 높이가 9인 두 번째 탑과 높이가 6인 첫 번째 탑이 보낸 레이저 신호는 어떤 탑에서도 수신을 하지 못한다.

탑들의 개수 N과 탑들의 높이가 주어질 때, 각각의 탑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어느 탑에서 수신하는지를 알아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째 줄에 탑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1 이상 5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N개의 탑들의 높이가 직선상에 놓인 순서대로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탑들의 높이는 1 이상 100,000,000 이하의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주어진 탑들의 순서대로 각각의 탑들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를 수신한 탑들의 번호를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만약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탑이 존재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

문제 풀이

stack을 활요해서 문제를 풀었다.

우선 stack에 높이 입력 배열의 첫번 째 요소를 넣는다.

이후 높이 입력 배열의 인덱스 1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탐색을 돌릴건데 각 인덱스에서의 높이가 스택의 끝 요소에 담겨진 높이보다 크다면 앞에서 관찰했던 작은 높이들은 이후에 쓸모가 없어지게 된다. 그러니 현재 높이보다 작은 스택은 끝자락들을 계속 Pop 해주면서 없애준다.

이 떄 stack을 계속 pop했는데 남은 요소가 없다면 지금의 높이가 왼쪽에 있는 높이들보다 젤 높은 것이므로 걸쳐지는게 없어서 answer에는 0을 둔다. 그게 아니라면 지금까지 관찰했던 높이 중 자신보다 큰 높이가 스택의 끝자락에 오게 되므로 그 높이의 인덱스를 정답 배열에 기록해준다.

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toString()
    .trim()
    .split('\n');

const n = +input[0];
const arr = input[1].split(' ').map((v, idx) => [Number(v), idx + 1]);
const answer = Array.from({ length: n }, () => 0);

const stack = [arr[0]];
for (let i = 1; i < n; i++) {
    const [num, idx] = arr[i];

    while (stack.length && stack.at(-1)[0] < num) {
        stack.pop();
    }

    if (stack.length !== 0) {
        answer[i] = stack.at(-1)[1];
    }
    stack.push([num, idx]);
}
console.log(answer.join(' '));

스택에 담을 떄는 관찰 될 높이의 인덱스를 정답에 배열해야 하므로 애초에 입력 받을때 인덱스+1까지 기록한 뒤 활용하였다.

'코딩 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53 좋다  (0) 2025.04.23
14719 빗물  (0) 2025.04.21
1446 지름길  (0) 2025.04.20
2164 카드2  (0) 2025.04.18
2668 숫자고르기  (0)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