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x:y>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1:1>로 표현하고, 두 번째 해를 <2:2>로 표현하였다. <x:y>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x':y'>이라고 하자. 만일 x < M 이면 x' = x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x' = 1이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 N이면 y' = y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y' = 1이다. <M:N>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
예를 들어, M = 10 이고 N = 12라고 하자. 첫 번째 해는 <1:1>로 표현되고, 11번째 해는 <1:11>로 표현된다. <3:1>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 <10:12>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질 때, <M:N>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x:y>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각 줄에는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진다. (1 ≤ M, N ≤ 40,000, 1 ≤ x ≤ M, 1 ≤ y ≤ N) 여기서 <M:N>은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를 나타낸다.
출력
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 각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수 k를 한 줄에 출력한다. 여기서 k는 <x:y>가 k번째 해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x:y>에 의해 표현되는 해가 없다면, 즉, <x:y>가 유효하지 않은 표현이면, -1을 출력한다.
===
문제 분석
숫자가 m만큼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n으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y가 나오는 수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
단 이때 m,n의 최소 공배수 이후로는 최소공배수 이전고 같은 상황들이 반복되므로 반복문의 탈출 조건은 m,n의 최소공배수로 설정했다.
최소 공배수를 구하기 위해 최대 공약수부터 구한뒤 gcd*(m/gcd)*(n/gcd)를 계산해준다.
const gcd = (a, b) => {
let [s, e] = [a, b];
while (true) {
const n = s % e;
if (n === 0) {
return e;
}
s = e;
e = n;
}
};
const [m, n, x, y] = arr;
if (x === y) return x;
const GCD = gcd(m, n);
const MAX = GCD * (m / GCD) * (n / GCD);
이후로는 첫 줄에 언급한 뒤로 반복문을 실행하면 되는데 이 때, n과 y가 같다면 나머지가 0이 나오게 되므로 조건문을 추가해주었다.
for (let i = x; i <= MAX; i += m) {
if (y === n && i % n === 0) {
return i;
}
if (i % n === y) {
return i;
}
}
return -1;
전체 코드
const gcd = (a, b) => {
let [s, e] = [a, b];
while (true) {
const n = s % e;
if (n === 0) {
return e;
}
s = e;
e = n;
}
};
const main = (arr) => {
const [m, n, x, y] = arr;
if (x === y) return x;
const GCD = gcd(m, n);
const MAX = GCD * (m / GCD) * (n / GCD);
for (let i = x; i <= MAX; i += m) {
if (y === n && i % n === 0) {
return i;
}
if (i % n === y) {
return i;
}
}
return -1;
};
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toString()
.trim()
.split('\n');
const n = +input[0];
const testCase = input.slice(1).map((v) => v.split(' ').map((v) => +v));
const answer = testCase.map((t) => main(t));
console.log(answer.join('\n'));
'코딩 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197 두 동전 (0) | 2025.01.13 |
---|---|
1248 Guess (자바스크립트) (0) | 2025.01.12 |
17298 오큰수 , 17299 오등큰수 (자바스크립트) (0) | 2025.01.08 |
1339 단어 수학 (자바스크립트) (0) | 2025.01.08 |
11057 오르막 수 (자바스크립트)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