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가 N×N인 도시가 있다. 도시는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도시의 각 칸은 빈 칸, 치킨집, 집 중 하나이다. 도시의 칸은 (r, c)와 같은 형태로 나타내고, r행 c열 또는 위에서부터 r번째 칸, 왼쪽에서부터 c번째 칸을 의미한다. r과 c는 1부터 시작한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치킨을 매우 좋아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치킨 거리"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치킨 거리는 집과 가장 가까운 치킨집 사이의 거리이다. 즉, 치킨 거리는 집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각각의 집은 치킨 거리를 가지고 있다. 도시의 치킨 거리는 모든 집의 치킨 거리의 합이다.
임의의 두 칸 (r1, c1)과 (r2, c2) 사이의 거리는 |r1-r2| + |c1-c2|로 구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지도를 갖는 도시를 살펴보자.
0 2 0 1 0
1 0 1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1 2
0은 빈 칸, 1은 집, 2는 치킨집이다.
(2, 1)에 있는 집과 (1, 2)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2-1| + |1-2| = 2, (5, 5)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2-5| + |1-5| = 7이다. 따라서, (2, 1)에 있는 집의 치킨 거리는 2이다.
(5, 4)에 있는 집과 (1, 2)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5-1| + |4-2| = 6, (5, 5)에 있는 치킨집과의 거리는 |5-5| + |4-5| = 1이다. 따라서, (5, 4)에 있는 집의 치킨 거리는 1이다.
이 도시에 있는 치킨집은 모두 같은 프랜차이즈이다. 프렌차이즈 본사에서는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부 치킨집을 폐업시키려고 한다. 오랜 연구 끝에 이 도시에서 가장 수익을 많이 낼 수 있는 치킨집의 개수는 최대 M개라는 사실을 알아내었다.
도시에 있는 치킨집 중에서 최대 M개를 고르고, 나머지 치킨집은 모두 폐업시켜야 한다. 어떻게 고르면, 도시의 치킨 거리가 가장 작게 될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2 ≤ N ≤ 50)과 M(1 ≤ M ≤ 13)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도시의 정보가 주어진다.
도시의 정보는 0, 1, 2로 이루어져 있고, 0은 빈 칸, 1은 집, 2는 치킨집을 의미한다. 집의 개수는 2N개를 넘지 않으며, 적어도 1개는 존재한다. 치킨집의 개수는 M보다 크거나 같고, 13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폐업시키지 않을 치킨집을 최대 M개를 골랐을 때, 도시의 치킨 거리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
문제 분석
우선 m 개의 치킨집을 고른 뒤 각각의 집에서 골라진 치킨집 중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치킨집을 치킨 거리를 구한다.
이것을 모든 집에서 출발하여 치킨 거리를 구한 뒤 다 더한 값이 도시의 치킨 거리가 된다.
골라진 치킨집들 중 가장 작은 도시의 치킨 거리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
치킨 집을 고르는 방법은 치킨집들의 좌표들을 구한 뒤 이것을 m개 만큼 조합하면 된다.
const checkine = [];
for (let i = 0; i < n; i++) {
for (let j = 0; j < n; j++) {
if (gr[i][j] === 2) {
checkine.push(`${i}-${j}`);
}
}
}
const combi = (arr, idx) => {
if (arr.length === m) {
combinations.push(arr);
return;
}
for (let i = idx + 1; i < checkine.length; i++) {
combi([...arr, checkine[i]], i);
}
};
const combinations = [];
for (let i = 0; i < checkine.length; i++) {
combi([checkine[i]], i);
}
그리고 시간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집에 대해 모든 치킨집과의 거리를 구해서 객체에 담아둔다.
const home = {};
for (let i = 0; i < n; i++) {
for (let j = 0; j < n; j++) {
if (gr[i][j] === 1) {
home[`${i}-${j}`] = {};
const visited = Array.from({ length: n }, () =>
Array.from({ length: n }, () => -1)
);
visited[i][j] = 0;
const q = [[i, j]];
while (q.length) {
const [x, y] = q.shift();
for (let k = 0; k < 4; k++) {
const nx = x + dx[k];
const ny = y + dy[k];
if (nx < 0 || ny < 0 || nx >= n || ny >= n) continue;
if (visited[nx][ny] !== -1) continue;
if (gr[nx][ny] === 2) {
home[`${i}-${j}`][`${nx}-${ny}`] = visited[x][y] + 1;
}
visited[nx][ny] = visited[x][y] + 1;
q.push([nx, ny]);
}
}
}
}
}
위의 결과로는 아래와 같이 나온다.
키 값은 집의 좌표이고, 그 안에 담겨진 객체 값은 { 각 치킨집 좌표 - 그 치킨집까지의 거리 } 가 나온다.
{
'0-3': { '0-1': 2, '4-4': 5, '3-0': 6, '4-1': 6, '4-0': 7 },
'1-0': { '0-1': 2, '3-0': 2, '4-0': 3, '4-1': 4, '4-4': 7 },
'1-2': { '0-1': 2, '3-0': 4, '4-1': 4, '4-0': 5, '4-4': 5 },
'3-3': { '4-4': 2, '3-0': 3, '4-1': 3, '4-0': 4, '0-1': 5 },
'3-4': { '4-4': 1, '3-0': 4, '4-1': 4, '4-0': 5, '0-1': 6 },
'4-3': { '4-4': 1, '4-1': 2, '4-0': 3, '3-0': 4, '0-1': 6 }
}
이제 위에서 구했던 고를 수 있는 치킨집들의 조합에서
모든 집에서 가장 가까운 치킨집을 구하고 그것을 치킨 거리에 축적한다.
이후 축적된 치킨 값과 정답을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정답에 담아둔다.
combinations.forEach((coms) => {
let s = 0;
Object.keys(home).forEach((key) => {
const values = home[key];
let min = INF;
coms.forEach((str) => {
min = Math.min(values[str], min);
});
s += min;
});
answer = Math.min(answer, s);
});
정답 코드
const dx = [0, 0, -1, 1];
const dy = [-1, 1, 0, 0];
const input = require('fs')
.readFileSync(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toString()
.trim()
.split('\n');
const [n, m] = input[0].split(' ').map((v) => +v);
const gr = input.slice(1).map((v) => v.split(' ').map((v) => +v));
const INF = 1_000_000_000;
let answer = INF;
const home = {};
const checkine = [];
for (let i = 0; i < n; i++) {
for (let j = 0; j < n; j++) {
if (gr[i][j] === 2) {
checkine.push(`${i}-${j}`);
}
if (gr[i][j] === 1) {
home[`${i}-${j}`] = {};
const visited = Array.from({ length: n }, () =>
Array.from({ length: n }, () => -1)
);
visited[i][j] = 0;
const q = [[i, j]];
while (q.length) {
const [x, y] = q.shift();
for (let k = 0; k < 4; k++) {
const nx = x + dx[k];
const ny = y + dy[k];
if (nx < 0 || ny < 0 || nx >= n || ny >= n) continue;
if (visited[nx][ny] !== -1) continue;
if (gr[nx][ny] === 2) {
home[`${i}-${j}`][`${nx}-${ny}`] = visited[x][y] + 1;
}
visited[nx][ny] = visited[x][y] + 1;
q.push([nx, ny]);
}
}
}
}
}
const combinations = [];
const combi = (arr, idx) => {
if (arr.length === m) {
combinations.push(arr);
return;
}
for (let i = idx + 1; i < checkine.length; i++) {
combi([...arr, checkine[i]], i);
}
};
for (let i = 0; i < checkine.length; i++) {
combi([checkine[i]], i);
}
combinations.forEach((coms) => {
let s = 0;
Object.keys(home).forEach((key) => {
const values = home[key];
let min = INF;
coms.forEach((str) => {
min = Math.min(values[str], min);
});
s += min;
});
answer = Math.min(answer, s);
});
console.log(answer);
'코딩 테스트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35 캐슬 디펜스 ( 자바스크립트 ) (1) | 2025.01.16 |
---|---|
17281 ⚾ (자바스크립트) (0) | 2025.01.14 |
17088 등차수열 변환 (0) | 2025.01.14 |
16936 나3곱2 (자바스크립트) (0) | 2025.01.14 |
2580 스도쿠 (자바스크립트) (0) | 2025.01.13 |